총방문자:15069 / 오늘방문자:249

> 국세 > 양도소득세

기회발전특구(또는 인구 20만명 이하의 시에 속한 洞) 지역 소재 주택 취득으로 2주택이 된 경우의 양도소득세 비과세특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364회 작성일 25-03-19 16:37

본문

거주자 및 그 배우자가 구성하는 1세대가 200381일부터 20251231일까지의 기간 중에 1채의 농어촌주택을 취득하여 3년 이상 보유하고 그 농어촌주택 취득 전()에 보유하던 다른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그 농어촌주택을 해당 1세대의 소유주택이 아닌 것으로 보아 1세대1주택 비과세 특례를 적용한다. 이 경우 취득 당시 *기회발전특구에 소재하거나 읍면 또는 *인구 20만명 이하의 시에 속한 에 소재한 주택을 말하며, 취득 당시 기준시가 3억원한옥은 4억원) 이하의 주택을 말한다. 또한 수도권지역(연천군·옹진군·강화군·가평군 및 인구감소지역은 제외도시지역(영암·해남·태안 관광레저형기업도시개발구역 및 인구감소지역은 제외조정대상지역·허가구역·관광단지의 지역은 비과세 특례 지역에서 제외된다

<*기회발전특구정>(56개 지역)

·부산 남구 문현동(문현금융단지), 동구 좌천동(북항재개발지역 2단계), 기장군 장안읍 임랑리·좌동리·반룡리(동남권 방사선 의·과학일반산업단지), 강서구 구랑동(부산·진해 경제자유구역 미음지구), ·대구 수성구 대흥동(수성알파시티), 달성군 구지면(대구 국가산업단지), 북구 검단동(금호워터폴리스), ·광주 광산구 삼거동·덕림동(빛그린국가산업단지), 북구 오룡동·대촌동·월출동(광주연구개발특구 첨단3지구), 광산구 비아동(광주연구개발특구 첨단3지구), ·대전 유성구 원촌동(원촌첨단바이오메디컬혁신지구), ·울산 북구·남구:고사동·명촌동·부곡동·상개동·성암동·양정동·여천동·황성동(울산·미포국가산업단지), 울주군 삼남읍 방기리·가천리(하이테크밸리일반산업단지), 울주군 온산읍 당월리·산암리·원산리·이진리·학남리(온산국가산업단지), 남구 황성동(울산북신항 배후단지), ·세종 집현동(스마트 도시첨단산업단지), 연서면(스마트 국가산업단지), 전동면(전동일반산업단지), ·전남 광양시 금호동(광양국가산업단지 동호안), 광양시 세풍리(세풍일반산업단지), 광양시 세풍리·여수시 율촌면·순천시 해룡면(율촌 제1일반산업단지), 여수시 묘도동(묘도항만 재개발 사업지), 순천시 오천동·풍덕동(순천만 국가정원), 목포시 달동(목포신항 배후단지), 해남시 화원면(화원조선산업단지), ·전북 전주시 덕진구(환경첨단복합산업단지3-1, 탄소소재국가산업단지 등), 익산시 남산면(익산 제3일반산업단지), 익산시 왕궁면(국가식품클러스터), 정읍시 신정동(첨단과학일반산업단지), 김제시 상동동(지평선 제2일반산업단지), 김제시 백구면(백구일반산업단지), ·충남 보령시 오천면 영보리(냉열특화산업단지), 서산시 대산읍 대죽리(대산그린컴플렉스일반산업단지), 논산시 연무읍 동산리·죽본리(국방국가산업단지), 부여군 홍산면 무정리·정동리·조현리(부여일반산업단지),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은산2농공단지), 예산군 삽교읍 가리·삽교리·상성리·역리·용동리(내포농생명 그린바이오일반산업단지), ·충북 제천시 왕암동(제천제2일반산업단지), 제천시 왕암동·신동·봉양읍 장평리(제천제4일반산업단지), 보은군 탄부면(보은제3일반산업단지), 진천군 문백면 은탄리(진천 메가폴리스일반산업단지), 음성군 감곡면(상우일반산업단지), ·경남 고성군 동해면(양촌·용정 일반산업단지), 창원시 성산구·의창구(창원국가산업단지), ·경북 구미시 공단동·임수동·시미동·산동읍 봉산리 등(구미 국가산업단지 1~5단지), 안동시 풍산읍(경북바이오 2차일반산업단지), 포항시 북구 흥해읍(영일만 일반산업단지), 포항시 남구 동해면(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 상주시 청리면 마공리(청리 일반산업단지), ·강원 홍천군 북방면(홍천 도시첨단산업단지), 원주시 부론면(원주 부론일반산업단지), 강릉시 구정면(강릉 천연물바이오 국가산업단지), 동해시 구호동(동해 북평국가산업단지), 삼척시 동막리(삼척 수소특화 일반산업단지), 영월군 산솔면(영월 녹전리 핵심소재산업단지), ·제주 서귀포시 하원동(하원테크노캠퍼스) : [자세한 지번 등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정·고시를 참고 바람]

<*인구 20만명 이하의 시에 속한 >(26개 지역)

·충북(제천시), ·충남(계룡시, 공주시, 논산시, 보령시, 당진시, 서산시), ·강원(동해시, 삼척시, 속초시, 태백시), ·전북(김제시, 남원시, 정읍시), ·전남(광양시, 나주시), ·경북(김천시, 문경시, 상주시, 안동시, 영주시, 영천시), ·경남(밀양시, 사천시, 통영시), ·제주(서귀포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